본문 바로가기

Skin Atelier."피부 공방"

점,혹시 피부암? 20대 여성이 알아야 할 피부암 예방법

반응형

피부암, 알고 보면 예방 가능한 질환!


햇볕이 따사로운 봄, 여름철이면 야외활동이 잦아지면서 자외선 노출이 증가합니다. 자외선은 피부에 화상을 입히고 광노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경우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부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완치율이 높은 질환이지만,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암, 왜 발생할까요?


피부암의 가장 큰 원인은 자외선입니다. 자외선은 피부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암세포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햇볕이 강한 시간대(오전 10시 ~ 오후 4시)의 직사광선은 피부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피부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기타 요인


* 백인: 밝은 피부색을 가진 사람은 멜라닌 색소가 적어 자외선에 취약합니다.
* 가족력: 가족 중에 피부암 환자가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많은 수의 점: 점이 많을수록 피부암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면역력 저하: 면역력이 약해지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피부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과거 화상 경험: 심한 화상을 입은 부위에 피부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암, 일반 점과 어떻게 구별할까요?


피부암은 일반 점과 비슷하게 보일 수 있어 초기 발견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특징을 통해 구별할 수 있습니다.

피부암 의심 증상


* 점의 크기, 색깔, 모양이 변하는 경우: 점이 점점 커지거나 색깔이 짙어지고, 모양이 불규칙해지는 경우
* 가려움증, 통증, 출혈이 있는 경우: 점에서 피가 나거나 딱지가 앉고, 가렵거나 아픈 경우
* 새로운 점이 생기는 경우: 특히 40세 이후에 새로운 점이 생기는 경우
* 경계가 불분명한 점: 점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주변 피부와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

🔍피부암 자가 진단 테스트 목록

  1. 피부에 생긴 병변의 크기가 5~7mm 이상이다.
  2. 병변이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진다.
  3. 주위 피부와 경계가 불규칙하다.
  4. 점의 색깔이 균일하지 않다.
  5. 기존에 있던 점의 크기가 비대칭적으로 커지거나 병변의 색조가 변했다.
  6. 기존에 있던 점에서 인설(하얀 각질), 미란(썩은 부위), 삼출, 가피(딱지), 궤양, 출혈등 변화기 생겼다.
  7. 기존에 있던 점에서 소양감(가려움), 압통, 통증을 느낀다.
  8. 딱지가 앉은 병변 주위가 붉고 치료해도 잘 낫지 않고 커진다.
  9. 손발톱에 검은 줄이 생겼다.

피부암을 의심할 때 유용한 ABCDE 법칙이 있습니다.


* A(Asymmetry): 비대칭적인 모양
* B(Border): 경계가 불규칙하고 울퉁불퉁한 모양
* C(Color): 색깔이 다양하고 불균일한 경우
* D(Diameter): 지우개 크기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 E(Evolving): 크기, 색깔, 모양 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경우

피부암,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피부암은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 자외선 차단: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SPF 30 이상)를 꼼꼼히 바르고 2시간마다 덧바릅니다.
* 햇볕이 강한 시간대(오전 10시 ~ 오후 4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합니다.
* 긴소매 옷, 긴 바지, 모자, 선글라스를 착용합니다.
* 정기적인 피부 검진: 혼자서 발견하기 어려운 부위는 피부과 전문의에게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습니다.
* 피부 변화 관찰: 몸 전체의 피부를 자주 관찰하여 새로운 점이나 기존 점의 변화를 확인합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 균형 잡힌 식단과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 흡연 및 과도한 음주 삼가: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면역력을 저하시켜 피부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결론
피부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완치율이 높은 질환입니다. 하지만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평소 자외선 차단을 생활화하고 정기적인 피부 검진을 통해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

주의
위 정보는 일반적인 건강 정보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반응형